트래블맵에서 알려드리는 여행정보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는 도심재생 프로젝트, 포항운하가 그 웅장한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포항운하는 형산강 입구에서 포항 도심에 위치한 송도교 인근 동빈내항까지 1.3km 구간에
물길을 뚫어 폭 15~26m, 수심 1.74m로 운하를 건설해 형산강의 물길을 되살리는 환경복원 사업이다.
특히, 포항운하의 주요구간인 동빈내항은 신라시대부터 ‘포항의 자궁’ 역할을 해 온 역사적인 공간이다.
신라초기에는 문물왕래의 주 관문이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수산업전진기지로 경북 전역의 경제를 좌지우지한 중심지였다.
또한 근대화의 상징인 포스코의 밑거름이기도 했다. 이러한 역사적 공간인 동빈내항이 포항운하와 함께 생명이 흐르고,
문화가 흐르는 포항의 랜드마크로 새로운 역사를 만들고 있다.
지난 40여 년간 포항운하의 옛 물길은 포항제철소가 들어서고 주변 도심이 개발되면서,
1974년 부족한 주택난 해결 등의 목적으로 매립된 이후 1.3㎞ 길이의 형산강 지류 물길이 완전히 막혀버렸다.
당시 개발논리에 밀려난 물길이 끊어지면서, 바닷물이 동빈내항에 갇혀 버렸고
그 후 썩어가는 물과 오염물질로 내항인근은 사람들이 살기 힘든 슬럼가로 급속히 쇠퇴했다.
그러나, 11월 2일 이 물길은 포항운하를 통해 생명의 물길로 재탄생한다. 전체 3.3km의 ‘멈춰진 물길’ 가운데 이번에 1.3km 구간이
통수돼, 새 물길이 흘러들면 나머지 2km의 오염된 내항도 수질개선 효과를 가져와 결국 전체적인 ‘생태복원’이 이뤄진다.
이제 40여 년간 동빈내항에 갇혀 썩고 있는 생활폐수는 사라지고, 우리는 푸른 물이 넘실거릴 포항운하의 물길을 바라 볼 것이다.
또, 이 물길을 따라 포항운하에서 형산강에 이르는 6.6㎞ 구간에는 21t급 46인승 연안크루즈 1척과
16인승 관광유람선(리버크루즈) 4척이 운행된다.
포항운하 주변에도 수변공원을 비롯한 친수공간과 비즈니스호텔, 테마파크와 같은
각종 레포츠 시설과 관광시설 등의 포항관광인프라가 획기적으로 구축될 전망이다.
출처 : 포항시청